“아시아 보물은 쌓이는데 창고가 없다”

“아시아 보물은 쌓이는데 창고가 없다”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5-09-08 13:27
수정 2025-09-08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수장고 확충 시급

이미지 확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수장고 모습. ACC 제공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수장고 모습. ACC 제공


ACC, 1만9천여점 아시아 기증 최고 유물 보관
아시아 유물은 넘치는데 5개 수장고 포화상태
국제 교류 유물 기증 급증에 수장고 확장 절실
김상욱 전당장 “소중한 아시아 유물 국민 소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전당장 김상욱)이 설립 10주년을 맞았지만, 아시아 각국에서 기증·수집된 수만 점의 방대한 유물들이 공간부족으로 제자리를 찾지 못한 채 수장고에 갇혀 있다. 국내 최대 복합문화예술기관을 자임하는 ACC가 국제적 문화 교류의 허브로 자리 잡으면서 ‘보물은 넘치는데 수장고는 태부족’이라는 역설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문화예술의 교류와 유산 보존을 사명으로 하는 국가기관의 현주소치고는 뼈아픈 대목이다.

2015년 개관한 ACC는 아시아 문화자원의 수집·연구·활용을 기반으로 전시·공연·교육·축제를 아우르며 한국을 대표하는 복합문화예술기관으로 자리매김해왔다. 특히 서구 중심의 문화 담론을 넘어, 아시아의 생활·예술·철학을 전면에 내세운 최초의 국제 문화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이 과정에서 각국의 정부·재단·연구기관은 ACC에 귀중한 유물을 꾸준히 기증해왔고, 그 성과는 세계적 수준의 문화 교류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교류 성과가 쌓일수록 공간은 빠르게 한계에 부딪혔다. 문화정보원 지하 4층 1,716㎡ 규모 수장고에 현재 보관 중인 유물은 1만4,473건, 총 1만9,150점.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등지에서 들어온 자료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다섯 개로 나뉜 수장고는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섰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7년 네덜란드 델프트시 문화재단이 기증한 인도네시아 ‘누산타라 컬렉션’이다. 7,715건 가운데 단 330건(725점)만이 전시에 활용됐고, 나머지 7천여 건은 여전히 수장고 안에 묶여 있다. 인도네시아 론타르 재단의 무카무카무 컬렉션(6,323건)과 키르기스스탄 현지 조사로 확보한 유물 역시 비슷한 운명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바틱, 크리스, 와양, 추코 등)에 속하는 희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에게 공개되지 못한 채 잠들어 있다.

김상욱 전당장은 “해외 문화재단과 기관의 기증 제안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며 “기증품이 늘어나는 속도에 비해 보관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수장고 확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제 교류가 확대될수록 보관 압박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문화유산은 단순히 수량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재질별 보존 환경·온도·습도 관리 등 세심한 조건이 요구된다. 현 수장고 체계로는 장기적 보존은 물론 안정적 전시 연계조차 장담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ACC는 보존처리실과 정리실을 포함한 신축 수장고 건립에 착수했다. 첨단 환경제어 시스템을 갖춰 목재·금속·직물 등 유물 특성에 맞는 최적의 보존 환경을 구축하고,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가오는 전시 일정도 문제의 시급성을 웅변한다. ACC는 올해 10월 새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문화여정’을 연다. 카라반 교역, 사막 별자리, 유목민 텐트 생활을 체험형 콘텐츠로 구현하며, 우즈베키스탄에서 기증받은 실물 자료를 첫 공개할 예정이다. 기존 키르기스스탄 유목문화 소장품과 결합해 중앙아시아 고유의 지혜와 문화를 풀어내는 자리다. 그러나 이 역시 신축 수장고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지속적인 전시 확대와 자료 공개에는 한계가 불가피하다.

문화전당 관계자는 “아시아 국가들의 유물 기증 의지가 커질수록 ACC의 위상은 높아지지만, 수장고 한계로 인해 전시와 연구가 지연되는 모순이 반복되고 있다”며 “새 수장고는 단순한 시설 보강을 넘어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미래를 여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욱 전당장은 “수장고 확장은 아시아 문화 자산을 지켜내고 국민과 공유하기 위한 필연적 선택”이라며 “ACC가 아시아와 함께 성장하는 문화 동반자로 거듭나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