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이품송 위기… 솔잎 70% 솔잎혹파리 감염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연구원들이 지난 9일 크레인을 이용해 보은군 속리산 입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의 병해충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센터는 정이품송 솔잎의 60∼70%가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광합성을 막아 생육에 치명적인 솔잎혹파리에 감염됐다고 11일 밝혔다. 600여년 전 조선 세조의 행차 때 어가행렬이 걸리지 않도록 스스로 가지를 들어올려 ‘정이품’ 벼슬을 받은 소나무는 1979년에도 솔잎혹파리에 감염돼 3년 넘게 방충망을 씌우고 수간주사를 놓는 치료 끝에 겨우 살아났다.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이품송 위기… 솔잎 70% 솔잎혹파리 감염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연구원들이 지난 9일 크레인을 이용해 보은군 속리산 입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의 병해충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센터는 정이품송 솔잎의 60∼70%가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광합성을 막아 생육에 치명적인 솔잎혹파리에 감염됐다고 11일 밝혔다. 600여년 전 조선 세조의 행차 때 어가행렬이 걸리지 않도록 스스로 가지를 들어올려 ‘정이품’ 벼슬을 받은 소나무는 1979년에도 솔잎혹파리에 감염돼 3년 넘게 방충망을 씌우고 수간주사를 놓는 치료 끝에 겨우 살아났다.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제공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연구원들이 지난 9일 크레인을 이용해 보은군 속리산 입구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의 병해충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센터는 정이품송 솔잎의 60∼70%가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광합성을 막아 생육에 치명적인 솔잎혹파리에 감염됐다고 11일 밝혔다. 600여년 전 조선 세조의 행차 때 어가행렬이 걸리지 않도록 스스로 가지를 들어올려 ‘정이품’ 벼슬을 받은 소나무는 1979년에도 솔잎혹파리에 감염돼 3년 넘게 방충망을 씌우고 수간주사를 놓는 치료 끝에 겨우 살아났다.
충북대 수목진단센터 제공
2014-05-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