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넘은 美 ‘물가 쇼크’… 금리인하 6월로 미뤄질 듯

예상치 넘은 美 ‘물가 쇼크’… 금리인하 6월로 미뤄질 듯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4-02-15 00:24
수정 2024-02-15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월 소비자물가지수 3.1% 상승
코스피·닛케이 하락세로 돌아서

미국의 지난달 물가 상승세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이 휘청거렸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뒤로 밀릴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자 연일 상승세를 보이던 코스피와 닛케이225도 하락 전환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는 전일 대비 29.22포인트(1.10%) 하락한 2620.42에 장을 마감했다. 설 연휴 전인 지난 7일과 8일에 이어 13일까지 상승세를 이어 갔으나 결국 2650 턱밑에서 미끄러졌다. 3거래일간 5.1% 상승해 3만 8000선 돌파를 목전에 뒀던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전일 대비 260.65(0.69%) 하락한 3만 7703.32선에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7.3원 오른 1335.4원에 마감됐다.

이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면서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13일(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1월 미 CPI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1% 상승하며, 시장 전문가의 예상치(2.9%)를 웃돌았다.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5%,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37%, 나스닥지수는 1.80% 하락 마감됐다.

금리인하 시점은 기존 5월이 아닌 6월로 미뤄질 거란 전망이 우세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5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35%까지 낮아졌다. 불과 1주일 전 예상치인 70%와 비교하면 반토막 났다. 이에 비해 6월 인하 가능성은 75%까지 올라갔다. 오는 29일 발표될 개인소비지출(PCE)이 나와야 전반적인 물가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제프리 건들락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개인소비 지출이 소비자 물가지수보다 훨씬 더 중요해졌다”면서 금리인하 시작 시점 역시 6월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미 1월 CPI와 관련해 “대내외 잠재 리스크 요인이 여전한 상황에서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면서 “지나친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과도한 차입 투자를 활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2-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