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투자 훨씬 더 신중해질 것”
일부 공장 설립 인력 부족 우려도

8일(현지시간) 미국 당국의 이민단속으로 체포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수감돼 있는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 모습. 포크스턴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 불법체류 단속을 벌인 것과 관련해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문가들 우려가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아주 노동자들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한국인 300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수천개의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고 전했다.
지오반니 페리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경제학 교수는 이 매체에 “많은 기업이 미국 투자 전에 훨씬 더 신중해질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정책을 통해 그런 공장들을 유치하려 했다. 일부 기업은 공장 설립에 필요한 인력을 데려올 수 없을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포드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엘런 휴스 크롬윅은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지으려면 매우 특수한 기술 지식이 필요하다. 이들(한국 근로자들)은 이미 설비 설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며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면서 외국인 노동자가 노동력 일부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건 어처구니없다”고 비판했다.
WP는 “미국에는 이런 공장 건설을 위해 수개월간 수백명의 외국 숙련 인력을 데려올 비자 제도가 없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단속으로 현장 작업은 중단됐고,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에선 비판과 함께 당혹감이 확산됐다”고 전했다.
또 한국에서 공분을 불러일으킨 이번 사건으로 76억 달러(약 10조 5500억원) 규모 배터리 공장 건설이 불투명해진 상태라고 WP는 지적했다.
2025-09-1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