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같은 AI 어떻게 다룰까… 개발보다 대비부터”

“인간 같은 AI 어떻게 다룰까… 개발보다 대비부터”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05-19 23:32
수정 2016-05-20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공지능 전문가 러셀 교수·구글X 창업자 스런 대표 서울디지털포럼 강연

이미지 확대
제바스티안 스런(왼쪽) 유다시티 대표와 스튜어트 러셀(오른쪽) UC버클리대 교수. 서울디지털포럼 제공
제바스티안 스런(왼쪽) 유다시티 대표와 스튜어트 러셀(오른쪽) UC버클리대 교수.
서울디지털포럼 제공
“기자 여러분들께 부탁이 하나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사를 작성하면서 제발 무시무시한 ‘터미네이터’(영화 속 미래 기계인간) 사진은 쓰지 말아 주세요(웃음).”

19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지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디지털포럼(SDF) 기조강연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AI) 전문가 스튜어트 러셀(54) 미국 UC버클리 교수는 첫마디를 유머로 시작했다. AI 분야의 교과서로 받아들여지는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법’을 지은 그는 기조연설 후 ‘구글 자율주행차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바스티안 스런(49) 유다시티 대표와 대담 시간을 가졌다.

러셀 교수는 “AI 개발에 앞서 ‘사람보다 더 스마트한 AI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대응 방법과 답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테크놀로지 기업과 정부가 인공지능 개발에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자하려고 하는데 정작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AI가 나왔을 때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며,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매뉴얼이 없을 경우는 SF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상황들이 벌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스런 대표도 “AI는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미래와 현재를 바꿀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대비가 보이질 않는다”고 지적했다. 자율주행차, 구글글라스, 글로벌 와이파이 구축 프로젝트 등을 이끈 구글의 비밀 연구조직인 ‘구글X’의 창립자인 스런 대표는 2012년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온라인 교육업체 유다시티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그는 “이제는 고용 시장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인지, 교육은 인공지능 시대에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같은 문제에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AI의 등장은 현재 교육시스템과 고용문화를 바꿀 것이라고 예측했다. 스런은 “AI 사회에서는 한 번 교육받고 평생 일하는 개념은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고용 시스템과 교육 모델이 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5-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